2023.09.01 10:15

길 위에서 

조회 수 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iking-7890733_1280.jpg

 

Santiago de Compostela라는 도시의 이름을 기억합니다. 보통은 싼티아고 순례길이나 싼티아고 가는 길로 들어본 적이 있는 그 길의 마지막 목적지가 되는 도시의 이름입니다. 언제부터인가 싼티아고 순례의 길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더니 지금은 누구에게는 인생의 버킷 리스트가 되고 또 누구에게는 삶의 전환점이 되는 길이 되었습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찾았고 또 여전히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이 길은 이제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순례의 길이라기 보다는 삶을 멈추고 한번 쉼의 시간, 혹은 도전의 시간을 가져보는 의미가 더 커진 길이 되었습니다.

 

종교개혁자인 당시 카톨릭에서 행해지던 순례를 “바보들의 작품”이러고 까지 말했습니다. 당시에는 순례를 하는 것이 하나님 앞에서 나의 공로를 쌓는 것이거나 나의 죄를 속죄하는 고통을 감내하는 길이라 여겨 졌기 때문입니다. 여전히 같은 의미를 담아 이 길을 걷는 이들도 있지만 오히려 트레킹을 하듯이 긴 길을 조용히 걸어보려고 하는 이들도 많아졌습니다.

 

많은 이들이 걷는 것의 유용함에 대해 말했습니다. 그러나 현대인에게는 이 걷는 행위가 점점 줄어 들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일부러 걷는 시간을 가지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어딘가를 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걸어야 하는 삶이었다면 이제는 건강을 위해서 차를 타고 어딘가로 가서라도 걷고자 애쓰는 시대를 살아갑니다. 아마도 성도들 중에서도 매일 걷기 운동을 하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걷는 것은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건강을 위해 운동하는 개념뿐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며 어딘가 벽에 막히고 어려움에 빠질 때에 우리는 정처없이 걸음을 옮기게 될때가 있습니다. 강가이든 산둘레의 길이든지 뚜렷한 목적지가 없이 그저 조용히 걷는 일에만 몰두하다보면 생각이 정리되고 마음이 평안을 얻게 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순례의 길을 걷는 것은 조금 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순례자들에게 이렇게 조언합니다. 목적을 가지는 순간 길을 걷는 행위가 주는 유익을 빼앗길 확율이 크다는 것입니다. 그저 걷는 길과 시간에 집중하고 보이고 들리는 것에 마음을 주다보면 그 안에서 그동안을 보지 못했던 것을 보고 생각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그 길은 꼭 싼티아고를 가는 길이거나 어디 이름있는 둘레길이 아니어도 된다는 것입니다.

 

집 주변에 있는 길을 걷고 어느 이름 모를 산 주변에 있는 길을 걷더라도 내가 살아가는 속도를 늦추고 늘 고민하고 걱정하는 것들로 부터 잠시 떨어질 수 있다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유독 도시보다는 시골과 비슷한 캐나다 런던의 삶을 살아갑니다. 조금만 발을 옮기면 강변의 산챡로에 서기도 하고 곳곳에 있는 공원 길을 걸을 수도 있습니다. 집 주변에도 걷다가보면 나무 그늘 아래를 지나면서 이웃들의 화단이나 정원을 구경하게 되기도 합니다. 봄이면 꽃들을 보고 무성한 나무잎 아래를 지나는가 하면 또 바로 나뭇잎들이 물들어 가는 시간을 만나기도 합니다. 그 모든 시간들 속에서 기도와 생각을 나누기를 바랍니다.

 

나의 삶을 묵상하고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면 우리 집 주위를 걷는 그 길이 결코 싼티아고를 향해 걷는 순례길만 못하지 않을 것입니다. 매일 우리는 삶을 살아갑니다. 그리고 그 시간 속에서 조금씩 어딘가를 향해 걸어갑니다. 우리가 걸어가는 길 위에서 하나님을 묵상하고 삶을 생각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뚝 떨어진 어디에서가 아니라 일상의 삶을 살아가면서 그 길이 하나님을 기뻐하는 길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길이기를 바랍니다.


  1. 비현실적인 쉼

    한 청년이 미주를 시작으로 전 세계를 자건거로 여행하는 이야기를 즐겁게 읽었습니다. 벌써 3년째 길 위에서 자기의 젊음을 살고 있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돈이 많아서도 아니고 그저 자기의 삶을 살면서 조금 더 가치있게 의미있게 사는 길을 찾고자 ...
    Date2017.03.02
    Read More
  2. 삶을 아름답게 만들기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샘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What makes the desert beautiful is that somewhere it hides a well.” - 생텍쥐페리(소설 어린왕자 중에서) 어른을 위한 동화와 같은 어린왕자에는 꽤 생각할 만한 ...
    Date2023.12.13
    Read More
  3. 길 위에서 

    Santiago de Compostela라는 도시의 이름을 기억합니다. 보통은 싼티아고 순례길이나 싼티아고 가는 길로 들어본 적이 있는 그 길의 마지막 목적지가 되는 도시의 이름입니다. 언제부터인가 싼티아고 순례의 길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더니 지금은 누구에게...
    Date2023.09.01
    Read More
  4. 이 땅에서만 할 수 있는 일들

    교회 앞 화단에 조심스럽게 수선화와 튤립의 싹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긴 겨울을 지나고 어느틈엔가 봄이 왔음을 온 몸으로 알리며 언 땅을 뚫고 올라오는 싹을 보면서 살짝 흥분이 됩니다. 봄에 올라오는 새싹이지만 이제부터 가을이 지나 나무며 풀이며 겨...
    Date2018.03.28
    Read More
  5. 하나님의 지혜가 아니고서야

    2020년 1월에 영국 가디언지에 특이한 기사가 개재되었습니다. 미국 와이오밍주에 있는 ‘옐로스톤 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 늑대 복원 25년을 맞이해서 그 결과에 대한 여러 인터뷰 기사를 낸 것입니다. 엘로스톤 국립공원은 지난 1...
    Date2021.09.28
    Read More
  6. 느리게 산다는 것?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인 피에를 쌍소(Pierre Sansot)가 쓴 책 이름이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입니다. 그는 “느린 사람들의 평판이 그리 좋지 못하다”는 말로 책을 시작하지만 느리게 사는 삶을 의도적으로 선택했다고 말합니...
    Date2023.08.06
    Read More
  7. 시간을 잊었을 때

    작년 3월경에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롬브리브스 동굴’에서 딥 타임(Deep Time) 연구 프로젝트라는 실험이 있었습니다. 실험 기획자이자 책임자인 크리스티앙 클로가 이끄는 15명의 남녀 참가자가 40일동안 세상으로부터 고립되어 동굴 안에서 ...
    Date2022.10.11
    Read More
  8. 우리 삶에 생기는 틈

    우리는 삶을 살아갑니다. 하루 하루 바쁘고 애쓰며 살아가다가 보면 참 틈도 없이 흘러가는 시간 속에 서 있는 자신을 보게 됩니다. 내가 어디에 껴있는지 조차 가늠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그래도 하나님이 부르시는 곳을 향해 수고하며 하루의 길을 걸어 ...
    Date2023.11.05
    Read More
  9. 감사로 시작하는 한 해

    2024년을 시작하면서 “감사”에 대한 말씀으로 시작합니다. 특별새벽기도회 기간을 “감사하는 성도, 감사를 채우시는 하나님”이란 주제로 진행하면서 그동안 참 감사하는 말과 고백을 잘 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캐나다에 ...
    Date2024.01.09
    Read More
  10. 나를 자랑하고 싶은 사회

    젊은 여성들에게 불행을 안겨주는 플랫폼이란 이름을 가진 곳이 있습니다. 바로 세계의 가장 유력한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을 칭하는 표현입니다. 비교적 젊은 세대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지만 꽤 우리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곳이기도 합...
    Date2023.03.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