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internet-3113279_1280.jpg

 

 

숏폼이라는 용어가 요즘 잘 쓰입니다. 흔히 ‘TikTok”으로 알려진 모바일 영상들은 길이가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길이가 10분 이내의 영상들을 통치해서 숏폼이라고 부르는 모양입니다. 일반적으로 방송매체들을 통해 접하는 영상들은 20분 이상 1시간 정도의 길이를 가진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데 근래에는 인터넷과 모바일 생태계가 급발전하면서 개인이 만드는 영상들과 곤텐츠들이 많아지고 이런 것들을 중심으로 짧은 영상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굳이 Youtube를 말하지 않아도 요즘은 휴대전화기를 통해 각종 소셜미디어를 통해 영상들이 업데이트되고 그들을 접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 중에는 아주 개인적인 것들로부터 단체나 뉴스를 취급하는 것과 창작의 영역에 있는 영상들까지 아주 다양한 것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미 이런 것들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가 보기에는 이런 현상들은 너무 빠르고 가볍게 여겨지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것을 소비하는 젊은세대들은 오히려 가볍고 빠른것들을 추구하고 그런 것들이 자기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여기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남들이 만든 것을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가 직접 참여하고 만들어서 다른 이들에게 공유하는 것이 익숙한 세대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과연 이런 일들이 세상을 덮어 갈 때에 우리들이 잃어버리는 것들은 없는지입니다.

 

시대는 변하고 새로운 문물들이 발명되어 생활을 변화시킵니다. 인류에게 아주 커다란 변혁을 가져다준 것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은 지금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이제 그런 두가지가 손 안에 휴대기기로 모아지면서 놀라운 것들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습니다. 

 

가족들이 모인 집 거실의 풍경은 각자 자기의 휴대기기를 가지고 원하는 것들을 보며 앉아 있는 것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식당에서도 아이들을 위해 휴대기기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아이들에게 휴대전화를 맡겨 버린 풍경도 익숙합니다. 이런 것들을 잘잘못으로 이야기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이런 것들이 우리에게서 무엇인가를 가져가 버린다는 것이고 우리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무엇인가를 잃어 버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휴대가 되는 기기를 가지고 있고 ㅁ짧은 콘텐츠를 보는 것이어서 언제 어디에서나 시청이 가능한 것이 이런 숏츠의 장점입니다. 그런 장점은 우리에게서 많은 것들을 잃어버리게 합니다. 함께 하는 식사 시간에 나누는 정겨운 대화가 사라집니다. 길에서 무엇인가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우리의 눈은 휴대전화를 향하기 일쑤입니다. 차를 타고 어딘가를 간다고 해도 창밖에 풍경은 우리의 시선을 끌지 못합니다. 심지어 캠핑을 가고 자연에 쉬기 위해 가는 때에도 이런 휴대기기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들이 되었습니다.

 

사람은 살면서 나는 짧은시간을 어딘가에 집중하며 살게 되지 않습니다. 일하는 중에 남는 시간이거나 무엇인가 집중하는 일들 중에 이동하고 식사하는 시간들입니다. 그래서 이런 시간은 주변을 둘러보고 별 의미없는 대화를 나누게 됩니다. 그런 대화가 이제는 점점 사라지는 것 같아 슬픕니다.

 

짧은 대화는 그 자체로는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하지만 그런 대화를 주고 받는 시간들이 모여 관계를 형성하고 서로에게 대한 관심을 쌓아갑니다. 꼭 대화가 아니어도 우리는 짧은 시간을 통해 자연을 보기도 하고 그저 멍한 쉼의 시간을 가지기도 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삶을 풍성하게 하는 한 부분이라고 믿습니다.

 

짧고 빠른 영상들과 휴대기기들에게 그런 시간들을 빼앗기고 나서 요즘 우리의 삶은 오히려 분주하고 조급하지는 않은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말씀을 묵상하는 것도 그 짧은 것들에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1. 종교개혁 기념일에

    Photo By 남윤경 종교개혁은 16~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교회의 혁신운동이었습니다. 유럽의 중세 시대는 교황의 권위가 너무 존중되어 하나님의 말씀보다 더 중요시 되는 경향이 많았습니다. 교회는 성도들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복음, 자유와 안식보...
    Date2017.11.01
    Read More
  2.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얼마전 택사스 달라스에서 있었던 특별한 재판 기사가 있습니다. 근무를 마친 백인 경찰이 자신의 집으로 오인하고 들어간 집에서 그 집에 살던 흑인 청년을 총으로 죽인 사건에 대한 재판이었습니다. 경찰이었던 앰버 가이거는 이 일로 10년형의 유죄 판결을...
    Date2019.11.08
    Read More
  3. 변화하는세상 변하지 않는 믿음

    세상은 참 빠르게 변화해 갑니다. 청년들이나 자녀들에게는 당연한 세상이 부모들에게는 생소하고 이상한 것들이 되기도 하고 조금 더 어른들에게는 전혀 따라가기 버거운 세상이 되기도 하는 것을 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사용하는 기기들이나 타는 차 처...
    Date2023.03.30
    Read More
  4. 평범한 하루가 모여서

    주머니 속의 물건을 뽑는 것과 같은 일에 있어서 그 결과의 통계는 결국 평균에 다가갑니다. 우리는 오늘 하루를 이런 저런 상황속에 살아갑니다. 때로는 멋진 성공과 기쁨으로 가득하기도 하고 또 어떤 때에는 한없이 낮은 자리에서 해도 해도 되지 않는 일...
    Date2019.11.26
    Read More
  5. 안전장치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는 여러부분에 안전장치라는 것이 있습니다. 평소에는 잘 인식하지 못하고 또 사용하지도 않는 것이지만 아주 특별한 위기 상황에는 이 안전장치가 큰 사고나 위험을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안전장치는...
    Date2022.11.15
    Read More
  6. 맛있는 음식

    한주에 한번씩 누군가에게 읽힐 글을 쓴다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입니다. 늘 그렇게 쓸 것들이 많지 않기도 하고 그렇게 쓴 글에 내 삶이 담겨 있기 보다는 말만 넘치도록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얼굴이 화끈거릴 정도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글을 쓰면서 어...
    Date2018.11.03
    Read More
  7. 시간을 보는 자리

    우리가 살면서 참 자주 하는 말중에 하나가 “시간은 참 빠르게 지나간다.”는 것입니다. 봄인 것 같더니 어느새 여름을 지나고 얼마지 않으면 겨울이 올것이라는 사실을 압니다. 앙상했던 가지들이 풍성한 잎으로 가득하고 아름답게 피었던 꽃들이...
    Date2023.05.23
    Read More
  8. 그때에 그들이 나를/에스겔 39:21~29

    에스겔 39:21~29 말씀묵상 39:21 내가 내 영광을 여러 민족 가운데에 나타내어 모든 민족이 내가 행한 심판과 내가 그 위에 나타낸 권능을 보게 하리니 39:22 그 날 이후에 이스라엘 족속은 내가 여호와 자기들의 하나님인 줄을 알겠고 39:23 여러 민족은 이...
    Date2020.04.23
    Read More
  9. 교회라는 소망

    중국의 루쉰이라는 작가가 있습니다. 그는 중국의 격동기를 살면서 희망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희망이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은 것이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길이 되는 것이다.” 아무것도 ...
    Date2018.07.04
    Read More
  10. 내 마음을 어디에 둘까?

    김남주시인은 그의 시 “시인은 모름지기”에서 자신은 시인으로 이 세상의 힘있는 사람들이나 놀라운 업적을 남긴 이들에게는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의미를 두었던 사건, 그 위인들의 권위에도 고개를 숙이지는 않는다고 말합니다. 그...
    Date2017.06.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