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hanksgiving-2903166_960_720.jpg

 


“감사란, 견딜 수 없는 슬픔 가운데 있을 때도 사랑의 하나님이 우리를 안전하게 지키는 분이시며

 우리가 예배하는 하나님이 신뢰할 만한 분이심을 아는 것이다.” 
                                                                                      크리스틴 폴의 <공동체로 산다는 것>중에서.

 

추수감사절을 맞이합니다. 캐나다에서야 매년 가을이면 맞이하는 연중행사이지만 그리스도인인 우리들에게는 그들과는 조금 다르게 다가오는 날입니다. 

 

일년을 지나오면서 우리가 살아온 삶이 하나님의 손길 안에서 지나왔음을 고백하고 그 은혜에 감사하는 날이 추수감사주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삶이란 늘 좋기만 한것은 아니어서 때로는 실패도 있고 어려움도 겪게 됩니다. 

 

지난 일년도 어떤 해에는 감사할 것들이 풍성한가하면 또 어떤해에는 아프고 힘겨운 일들이 가득한 해도 있습니다. 마치 농사를 지어 삶을 살아가던 이들에게 그해 농사가 풍년이 들 때가 있는가하면 날씨가 여의치 않아서 농작물의 수확이 어렵게 된 때도 있는 것과 같습니다.

 

만일 그런때에 우리가 추수감사주일을 맞이한다면 우리의 고백은 무엇일까요? 여전히 감사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노래하고 찬양할 수 있을까요? 그래도 감사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우리의 믿음을 고백하는 것일까요?

 

올해 맞이하는 추수감사주일은 그런 의미로 제게 참 무겁게 다가옵니다. 지난주까지 아버님의 병상을 지키다가 여전히 의식이 없으신 것을 보고 서울을 떠나 캐나다로 왔습니다. 이미 작년에 종양을 발견했을 때부터 언젠가는 이런 날이 올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하나님의 은혜를 사모하며 기도했고 그렇게 잘 이겨내신 것을 보았습니다. 

아주 병이 다 나으시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병을 이기시면서 강건하게 고통없이 지내시기를 기도했고 그 삶의 마지막이 평안하고 아름답기를 기도했습니다.

 

물론 당신의 아픔을 다 알지 못하는 자리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도 한가지 분명한 것은 이러한 고통과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하나님은 감사의 제목들을 주신다는 것입니다.

 

목회를 20여년 해오면서 처음 가진 한 달간의 시간이 있었기에 아직 의식을 가지시고 저에 대하여 아이들에게 이런 저런 말씀을 하시고 함께 식사하는 시간을 두주간이나 가질 수 있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요. 또 평생 한번도 해보지 못했던 “사랑합니다”라는 말을 지난 일년동안 거의 매일마다 아버님에게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은혜입니다.

 

힘겨운 와중에 가장 힘있게 지나신 날 평안히 인사하시고 누우셔서 아직까지 잠을 자고 계신 것도 감사한 일입니다. 그 짧은 시간 동안 한국을 방문했었는데 그 시간에 누우신 아버님을 씻어드리고 챙겨들리 수 있는 시간이 허락된 것도 감사한 일입니다.

 

아직도 건강하시다면 또 자리에서 의식을 차리시고 일어나셔서 온 식구들과 다 인사하시고 평안히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으신다면 더 말할것도 없이 감사할 일이지만 혹 그렇게 되지 않는다해도 당신의 마지막 일년이 결코 힘겹고 아프지만은 않았다고 고백할 수 있습니다.

 

가족들에게나 사랑하는 성도들과 제자들 그리고 오래전에 가르쳤던 이들과 후배 동역자들에게 많이 격려하시고 위로 받으시고 위로하셨던 시간이었으니 그 또한 감사한 일입니다.

 

이제 또 어떤 시간들이 다가올런지 마음이 무겁지만 그래도 그 모든 순간에 여전히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시기에 그분을 의지함으로 그 은혜 가운데 이 시간을 지나게 될 것입니다. 성도들의 시간도 그렇게 감사함으로 지나는 이번 추수감사주일이길 기도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203 땅에 떨어진 과실 file 2018.08.07
202 잔치국수 file 2018.08.14
201 다시 쓸 수 없지만 file 2018.08.21
200 하나님이 주신 자유함 file 2018.08.29
» 그래도 감사할 수 있을까? file 2018.10.09
198 그래도 단풍이 주는 위로 file 2018.10.17
197 씨앗의 소망 file 2018.10.23
196 맛있는 음식 file 2018.11.03
195 필요는 관심의 다른 이름이기도하다 file 2018.11.21
194 내가 살고 있는 감정은 무엇인가? file 2018.11.27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