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25 12:09

죽음을 대하는 자세

조회 수 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tree-2649411_960_720.jpg

 


연일 계속되는 전염병소식에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길이 없고 매일 새벽마다 하나님의 긍휼하심을 기도합니다. 이런 일들을 격으면 우리는 약한 존재임을 깨닫습니다. 언제 무슨 일들이 일어날지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일어난 일들을 처리하거나 이겨내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특별히 요즘과 같이 원인과 치료방법을 알 수 없는 전염병을 만나게되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참 많이 없다는 사실에 좌절하게 되기도합니다.

 

빠른 시간에 이 어려움이 지나가고 고통당하는 모든 사람들이 아픔과 어려움을 이겨 낼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이런 소식들이 들리면 우리 안에 있는 미움이나 두려움, 연약함이 발동하기보다는 서로를 향한 위로와 건강한 격려가 세상을 덮기를 또한 기도합니다.

 

지금 가장 극심한 어려움에 처한 중국 우한에서 들려오는 소식들 중에서 양극단에 있는 두가지 사람들의 태도를 보게됩니다. 한가지는 질병의 공포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고통하는 안타까운 사람들의 모습들입니다. 가장 인간의 보편적인 태도일 것입니다. 또 한가지는 그런 상황에서 자신의 건강과 죽음의 위협을 뒤로하고 다른 이들을 돕는 일과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입니다. 

 

그들에게 중국정부가 명령하였기 때문이기도하고 한편으로는 자발적 헌신으로 이런 수고와 헌신에 몸을 던지는 그들의 숭고한 자세는 일반 인간의 성정에서는 놀라운 일입니다. 자기의 안위를 뒤로하고 더 좋은 일을 위해 수고하고 헌신하는 것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일이기도 할 것입니다. 

 

이런 일련의 일들을 보면서 죽음에 대한 생각과 묵상이 떠나질 않습니다. 우리는 모두가 죽음을 맞이 할 것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생명이 있는 존재들에게 죽음은 두려운 일이며 피하고 싶은 것입니다. 죽음과 가까이 있는 삶이 평안하기 어렵고 죽음을 아무렇지도 않게 대할 수 있는 사람도 그리 많지는 않을 것입니다. 누구라도 맞이 할 죽음이지만 살아있는 동안에는 나와 관계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살기 때문입니다. 

 

그러다가 문득 죽음이 우리 가까이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이런 일들이 있고나면 비로소 죽음이 나와 아주 먼 거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할 때 우리는 내 삶의 가치관을 확인하게 됩니다. 죽음을 대하는 나의 태도가 어떠한가에 따라 우리는 지금 나의 삶을 살아가는 나의 가치관이 무엇인지 확인 할 수 있게 됩니다. 죽음을 두려워하느라 삶에 집착하기도 하고 죽음이라고 하는 것과는 거리를 두고 생각하려하지 않기도합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죽음은 언젠가 우리에게 한번은 있을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죽음은 우리를 하나님 앞에 서게 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다른 누군가의 죽음의 이야기들을 들을때에 그들의 죽음은 우리의 생각을 바꾸는 계기가 되고 삶을 변하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누군가 가까운 이들의 죽음은 우리의 삶을 깊이 생각하게 하는 기회가 됩니다. 간혹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이들의 죽음도 우리의 관심을 돌리게 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산업현장에서 죽어가고 있는 이들의 이야기가 그동안 전혀 몰랐던 그들의 열악한 현실에 관심을 갖게 하기도 하고 제3세계에서 벌어지는 안타까운 죽음이 이 세상의 불균형과 아픔을 생각하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선교지의 죽음은 내가 지금 누리는 자유에 대한 감사를 불러 일으키기도 하고 내가 위해 기도해야 할 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기도합니다.

 

우리는 죽음 앞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고 있습니까?

 

누군가의 죽음을 보면서 먼 발치에서 지나가는 이야기로 듣고 있지는 않은지 모르겠습니다. 그 일은 언젠가 나에게도 다가올 일이며 그 후로는 하나님 앞에서서 우리의 인생을 점검받고 심판 받을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함으로 오늘을 경건하게 살아갈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1. 짧은 것에 잃어버리는 것들

    숏폼이라는 용어가 요즘 잘 쓰입니다. 흔히 ‘TikTok”으로 알려진 모바일 영상들은 길이가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길이가 10분 이내의 영상들을 통치해서 숏폼이라고 부르는 모양입니다. 일반적으로 방송매체들을 통해 접하는 영상들은 2...
    Date2023.06.15
    Read More
  2. 내가 사랑하는 성경구절

    월드비젼에서 실시한 글로벌 연구를 통해 세계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성경구절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이 발표는 최근에 인공지능 검색을 통해서도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구글 검색을 통해 국가별로 가장 많이 검색한 성경구절을 연구했는데 그중에 ...
    Date2023.06.06
    Read More
  3. 시간을 보는 자리

    우리가 살면서 참 자주 하는 말중에 하나가 “시간은 참 빠르게 지나간다.”는 것입니다. 봄인 것 같더니 어느새 여름을 지나고 얼마지 않으면 겨울이 올것이라는 사실을 압니다. 앙상했던 가지들이 풍성한 잎으로 가득하고 아름답게 피었던 꽃들이...
    Date2023.05.23
    Read More
  4. 아직은 언덕을 오르는 시간

    캐나다 런던에 와서 살아온지 꽤 긴 시간이 흐르면서 사면으로 보이는 것이 거의 평탄한 지형입니다. 산이라고해야 Fanshawe Conservation Area 안에 있는 산책길이나 Komoka Provincial Park에 있는 언덕 정도입니다. 그외에는 거의 굴곡이 없이 그저 그렇게...
    Date2023.05.11
    Read More
  5. 슬픈 기억을 붙들자

    우리는 살아가면서 여러 기억들을 만들어냅니다. 그 중에는 기쁘고 즐거운 기억돌도 있지만 가끔 아프고 괴로운 기억들도 있습니다. 특별히 고통스러운 기억들은 우리를 붙들고 놓지 않아서 자주 힘겨운 상황을 만나게 하기도합니다. 트라우마로 불리기도 하...
    Date2023.05.02
    Read More
  6. 늘 봄은 감사하다

    봄이 왔습니다. 유독 캐나다에서 만나는 봄이 더 반갑습니다. 아마도 나이가 들어서 만나는 봄이기도 하고 캐나다의 혹독하고 긴 겨울을 지나고 만나는 봄이어서 이기도 할 것입니다. 올 해도 여지없이 봄은 우리 곁에 왔습니다. 들쭉날쭉한 날씨지만 그래도 ...
    Date2023.04.25
    Read More
  7. 겨울을 지나 피는 꽃

    봄이 왔음을 알리는 꽃중에 대표적인 것이 수선화입니다. 아직 나무에 새싹이 나오지 않고 여전히 스산한 풍경일 때 가장 먼저 꽃을 피워 봄이 왔음을 알려줍니다. 교회 입구에도 매년 수선화가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데 웬일인지 올해는 겨우 두개만 꽃을 피...
    Date2023.04.20
    Read More
  8. 변화하는세상 변하지 않는 믿음

    세상은 참 빠르게 변화해 갑니다. 청년들이나 자녀들에게는 당연한 세상이 부모들에게는 생소하고 이상한 것들이 되기도 하고 조금 더 어른들에게는 전혀 따라가기 버거운 세상이 되기도 하는 것을 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사용하는 기기들이나 타는 차 처...
    Date2023.03.30
    Read More
  9. 나를 자랑하고 싶은 사회

    젊은 여성들에게 불행을 안겨주는 플랫폼이란 이름을 가진 곳이 있습니다. 바로 세계의 가장 유력한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을 칭하는 표현입니다. 비교적 젊은 세대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지만 꽤 우리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곳이기도 합...
    Date2023.03.22
    Read More
  10. 하나님이 일하시는 부흥

    지난 2월 8일부터 미국 캔터키 윌모어에 있는 애즈베리대학교 채플에서는 쉼없이 예배가 드려지고 있습니다. 3주가 넘는 기간동안 한순간도 쉬지 않고 끊임없이 찬양과 기도가 이어지고 계속해서 사역자들로부터 말씀 선포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화제가 되고 ...
    Date2023.03.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