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15 14:05

멈춤으로 성장한다.

조회 수 1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xe-984008.jpg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람은 경험을 통해 무엇인가를 배우는 존재들입니다. 학습을 통해 배우는 것 역시 경험이 동반될 때 나의 것으로 변화되는 힘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경험도 그대로 우리에게 배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얻는 것을 보면 무엇을 똑같이 경험한다고해서 모두가 다 그것으로부터 같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닌것이 분명합니다.  

 

우리는 무엇을 배우고 또 경험하더라도 잠간 멈추어서 내가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을 가질 때에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공부를 할 때에도 계속해서 무엇을 외우고 공부하는 것보다 내가 공부한 것을 한번 정리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때에 그것이 내것이 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옛말에도 나무꾼이 도끼를 가지고 나무를 벨때에도 쉬지않고 나무를 찍는 사람보다 중간 중간에 쉼의 시간을 가지면서 자기가 가진 도끼의 날을 벼르는 사람이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렇게 중간에 쉬는 시간을 가지고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을 점검하고 힘을 재충전하는 것과 가진 장비를 정비하는 것은 다른 의미에서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 보는 것과 비슷합니다. 

 

캠핑을 가거나 간혹 집에서 모닥불을 피우고 아이들과 시간을 보낼 때가 있습니다. 큰 나무를 세우고 불을 붙이자면 많은 종이를 사용하거나 시간이 필요합니다. 심지어 불을 붙이다가 힘을 다 빼기도해서 미리 도끼로 나무를 가늘게 쪼개어서 밑에 불을 붙이는 용도로 세우는 지혜를 발휘합니다. 집에 있는 도끼가 꽤 오래되었어도 한번도 날을 세울 생각을 해보지 않았습니다. 도끼라는 것이 그리 날카로운 날을 가것도 아니고해서 힘으로 나무를 자르곤 했습니다. 어느날 잔디깍기 날이 무뎌져서 갈아야하기에 사온 줄(Flat File)이 있어서 도끼의 날을 세워주었습니다. 역시 날이 서고나니 훨씬 일하기가 쉽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같은 경험을 합니다. 비단 무엇인가 도구를 정비하거나 공부하는 것을 정리하는 시간이 아니라도 열심히 살아가는 시간 중에 잠간의 정비의 시간을 가지면서 내가 가고 있는 길을 돌아보는 것은 꽤 중요한 시간입니다. 휴가이거나 여행이 아마 그런 시간을 가지게 되는 쉼의 시간일겁니다.

 

신앙생활에서는 이 정리 혹은 성찰의 시간이 어떻게 적용 될 수 있을지를 생각해봅니다.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면서 내가 믿고 살아가는 삶의 방향과 모습을 점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내가 잘 믿고 있는지 성경의 말씀을 오해없이 읽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아야합니다. 

 

그런의미에서 말씀묵상은 우리가 믿고 따라가는 성경말씀을 다시 세겨보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읽으며 읽은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묵상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깨달은 말씀을 내 삶에 잘 적용하기 위해 고민하는 시간도 필요합니다. 내 삶을 돌아보면서 중간에 서서 과연 나는 그리스도인으로 잘 살고 있는지를 성찰하는 것이 조금은 우리의 삶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일입니다.

 

또 일주일에 하루인 주일을 따로 정하여 하나님을 예배하는 날로 만드신 것도 같은 의미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가 열심히 달려가는 삶속에서 하루를 정하여 멈추어서서 나를 돌아보고 육체와 마음을 쉬는 것도 중요하고 그날 나를 구원하신 하나님을 기억하면서 예배하며 그분이 허락하시는 은혜를 사모하는 것이야말로 도구의 날을 벼르는 것보다도 중요한 일입니다. 또 코로나로인해 어쩔수 없이 조금은 더디게 지나가는 시간이 그렇게 우리를 성찰하는 시간이길 기도합니다.


  1. 어디를 바라 보아야하나

    미국의 선교잡지에 기고된 글을 읽다가 선교단체 <론 허치크래프트 사역>의 선교책임자인 론 허치크래프트의 글을 읽었습니다. 그는 지금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바라보면서 우리가 어디를 바라볼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었습니다. 보통은...
    Date2020.09.22
    Read More
  2. 멈춤으로 성장한다.

    미국의 교육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존 듀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배울 때에 경험보다 중요한 것은 되돌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않는다. 우리는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배운다.” 사...
    Date2020.09.15
    Read More
  3. 인생은 연극이 아니어서 다행이다

    “인생은 연극이다.” 셰익스피어가 자신의 글에서 한 말입니다.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어쩌면 연극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연기하듯 인생이라는 연극에서, 사회라는 무대 위에서 자신이 맡은 역을 그럴듯하게 연기하듯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하는...
    Date2020.08.18
    Read More
  4. 시간에 대하여

    어느새 8월 첫번째 주일입니다. 코로나로 전세계가 난리를 겪은지도 벌써 반년 가까이가 되어가고 그렇게 흐르는 시간이 이제는 조금 무감각해질만큼 익숙해 지기도 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조금 더 익숙해지기도 또 새로운 경험과 상황에 당황해 하면서도 ...
    Date2020.08.07
    Read More
  5. 설레임을 잃어가며

    캐나다에서 살면서 즐거운 기억중 하나는 넓은 자연에 들어가서 가족들과 함께 즐기는 캠핑입니다. 온가족이 비교적 캠핑을 즐기는 편이어서 가능하다면 캠핑을 갈려고 합니다. 많은 것들을 뒤로하고 호젓하게 자연에서 시간을 보내다가보면 하나님이 우리에...
    Date2020.07.26
    Read More
  6. YouTube 유감

    코로나로 집밖을 나가기 어려운 요즘 자녀들이 가장 많이 하는 것들이 아마도 인터넷일겁니다. 그중에는 SNS를 비롯한 개인 매체들도 있고 또 영화나 영상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여주는 YouTube나 Netflix와 같은 플랫폼도 있습니다. 컴퓨터뿐만 아니라 휴대...
    Date2020.07.12
    Read More
  7. 짐을 지는 인생

    니체는 자신의 책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여러 동물들을 등장시킵니다. 그중에 낙타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낙타는 묵묵히 사람 대신에 짐을지고 사막을 건너는 동물입니다. 그렇기에 책임감이 강하고 순종적입니다. 결코 짐을 지는 것을 거...
    Date2020.07.07
    Read More
  8. 내가 사랑하는 찬송가

    미주 기독신문에서 “내 인생 찬송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성도들의 의견을 듣고 사연을 받아 글을 쓴 일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연륜이 있으신 분들에게는 다양한 사연과 찬송가들이 있었을테고 각기 그 나름의 은혜가 있었을 겁니다. 덕분에 내게 ...
    Date2020.06.30
    Read More
  9. 재난지원금과 은혜

    코로나 사태가 계속되면서 각국 정부에서 국민들의 생활을 위해 “긴급재난지원금”이란 것들을 나누어주었습니다. 한국정부나 캐나다 정부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 상황 가운데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특별...
    Date2020.06.23
    Read More
  10. 말씀묵상/고린도전서 6:12~14

    우리 삶의 주인됨 6:12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 다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 내가 무엇에든지 얽매이지 아니하리라 6:13 음식은 배를 위하여 있고 배는 음식을 위하여 있으나 하나님은 이것 저것을 다 폐하시리라 몸은 음란을 위하여 있지 않...
    Date2020.06.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9 Nex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