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정신과 공동체 정신

한국 사람들은 ‘우리’라는 연대의식으로 맺어져 있다.
세계에서 많고 많은 민족들과 국가들 중에 한국 사람들만
‘우리’라는 말을 많이 쓰는 민족은 드물 것이다.

서양의 경우에는 이름을 쓸 때에 이름이 먼저 나오고 성이
나중에 나온다.
개인이 집단보다 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성이 먼저 나오고 이름이 뒤에 붙는다.
집단이 먼저 있은 후에 개인이 있음을 드러낸다.
또 자신을 소개할 때에도 외국 사람들은 자신의 이름을 말하
고 다음에 어느회사, 어느조직에 속하였음을 말하나 한국사
람들은 ‘어느회사의 아무개’‘어느교회의 아무 목사’하는
식으로 소속을 먼저 밝힌다.

이런‘우리정신’이 바로‘공동체정신’이어서 좋은 점이 많
다.‘우리’로 연결되어 있기에 서로 간에 정(情)이 있고 그
정은 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나쁜 점 역시 있다.
‘우리’가 아닌 밖의 사람들에 대하여는 배타적이 되기 때문
이다.

요즈음 우리 사회에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현상이 끼리
끼리 패거리를 지어서 자기 패거리가 아닌 사람들에게 대하
여는 배타적이 되고 있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식민지를 겪은 경험이 있
는 사회가 지니는 공통점이라는 지적도 있다.
과거 청산이란 이런 점에서는 꼭 있어야 할 운동이라 여겨진
다.
자기들만의‘우리’가 아니라 모두들을 위한‘우리’가 될때 우리 앞날은 밝아질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573 회개하는 자(2009년8월21일) 2011.06.30
572 인내와 신앙(2009년9월4일) 2011.06.30
571 시험에 들었을 때 (2009년9월11일) 2011.06.30
570 비난의 힘(2009년9월18일) 2011.06.30
569 불굴의 도전정신(2009년9일) 2011.06.30
568 눈아, 수고했다 발아, 고맙다(2009년10월16일) 2011.06.30
» 우리 정신과 공동체 정신 (2009년10월23일) 2011.06.30
566 불평으로 가득 찬 아이(2009년11월1일) 2011.06.30
565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2009년11월8일) 2011.06.30
564 나눔(2009년11월15일) 2011.06.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